‘희망버스’ 참가자 분들에게
“영도는 그대들을 거부합니다.”
“정치인들은 영도행이 아닌 여의도행 희망버스에 함께 탑시다.”
김형오(국회의원, 18대 전반기 국회의장)
요 며칠 잠을 못 이루고 있습니다. 어쩌다가 이 지경까지 왔는지 일말의 자책감과 함께 분노가 치밀어 오릅니다. 호소라 해도 좋고, 하소연이라 해도 괜찮습니다. 희망버스 출발을 하루 앞둔 오늘은 이런 편지로라도 제 간곡한 뜻을 그대들에게 전해야겠기에 펜을 들었습니다.
* 기자간담회를 통해 수해를 입은 영도의 지리적 상황을 설명하는 김형오 의원
혹시 희망버스가 김진숙씨를 내려오지 못하게끔 만들고 있는 건 아닐까요? 소영웅주의의 희생양으로 삼고 있는 건 아닐까요? 단언하건대 이건 사랑이 아닙니다. 참된 격려와 응원도 아닙니다. 그대들이 아무리 대의를 외치고 강변한다 해도 그것이 개인의 극단적 희생을 볼모로 한 거라면 저는 단연코 반대합니다. 언제까지 그녀를 이 불볕더위와 폭우 속에 내버려 둘 건가요?
2차 희망버스로 인해 영도는 이미 극심한 몸살을 앓았습니다. 그대들은 불청객이었습니다. 만약 그대들이 반갑고 고마운 손님이었더라면 영도 주민들은 집집마다 화장실을 개방하고 페트병에 찬물이라도 담아 건넸을 것입니다.
처음에는 ‘희망’이었는지 모릅니다. 그러나 두 번째는 ‘실망’이었습니다. 세 번째는 ‘절망’일 것 같은 예감마저도 듭니다. 왜 절대다수가 원하지 않고 모두가 불행해지는 길로 가려는 겁니까? 미흡하지만 노사가 어렵사리 합의했고, 이제는 남은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가슴을 열어야 할 이때 말입니다.
‘국민의 이름으로’라고는 하지 않겠습니다. 그러나 저는 부산 시민의 이름으로, 영도 주민의 이름으로 희망버스를 단호히 반대하고 거부합니다. 영도는 그대들의 ‘해방구’가 아닙니다. 악몽과 재앙은 절대 사절합니다. 지금 당장 그대들이 희망버스를 몰고 달려가야 할 곳은 물 폭탄 세례로 고통 받고 있는 재난의 현장이 아닐까요?
이번 집중호우로 부산 지역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. 말 그대로 ‘섬’인 영도는 상황이 더욱 심각합니다. 길은 끊어지고 언덕은 무너져 내렸습니다. 그대들은 저 참상과 신음소리가 안 보이고 안 들리나요? 그대들과 공권력의 충돌도 염려스럽지만, 저는 무엇보다도 분노한 민심이 어떤 식으로 폭발할는지 그게 정말로 두렵고 공포스럽습니다.
물론 그대들 대다수는 순수한 마음으로 희망버스에 탑승했을 거라고 믿습니다. 어쩌면 오늘 밤 야근을 마치고 고단한 몸으로 버스에 오를 분도 있을 것입니다. 그러나 애초 의도와는 다르게 희망버스는 지금 그 진의를 의심받고 있습니다. 과연 희망버스에는 무엇이 타고 있으며 행선지는 어디인지, 진짜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습니다. 아니, 이제는 고개를 내젓고 있습니다.
*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.
2차 희망버스로 부산 시민과 영도 주민들은 엄청난 불편과 고통을 겪었습니다. 장마 끝의 때 아닌 재앙으로 가뜩이나 도로며 도시 기능이 마비된 지금, 3차 희망버스가 들이닥친다면 어떤 불상사가 생길는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 실의와 좌절에 빠져 있는 주민들을 위로는 못할망정 또 다시 폐를 끼친다면 그 분들 가슴에 치밀어오를 분노와 증오는 어떻게 감당해야 할까요? 게다가 수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는 경찰 병력 중 상당수를 그대들 때문에 부산으로 보내야 한다면 이 얼마나 안타깝고 소모적인 일입니까?
희망버스에 동승하려는 일부 정치인들에게도 간곡히 호소합니다. 희망은 영도다리 위의 대치로는 결코 찾아오지 않습니다. 정치를 할 만큼 한 사람으로서 제 양심과 인격을 걸고 제안합니다. 정치인 대 정치인, 인격 대 인격으로 만나 이 문제의 진정한 해법을 찾읍시다. 형식과 절차, 내용 모두 여러분 뜻에 따르겠습니다. 여러분 주장을 경청하고 최대한 수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 해외를 떠돌고 있는 조남호 회장을 불러들여 사태 해결을 촉구하고 그를 국회 청문회에 출석시키는 문제 등도 구체적으로 협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.
정치인들을 가득 태운 영도행 버스는 희망을 줄 수가 없습니다. 희망은 여의도행 버스에 함께 탈 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3차 희망버스를 출발시킨다면 악몽은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. 그때는 저도 분노한 주민들을 더 이상 만류하거나 자제시킬 자신이 없습니다. 그로 인해 생기는 모든 불상사는 전적으로 여러분이 책임져야 할 것입니다.
어쩌면 지금까지 그런 집단 물리력을 그토록 반대해 왔던 저도 어느 순간 영도를 지키려는 시민들 편에 서서 여러분을 저지하기 위해 격돌의 현장, 그 한복판에 제 몸을 던지게 될는지도 모릅니다. 설마 그런 슬프고도 부끄러운 일이 일어나지는 않겠지요?
저는 지금껏 그래 왔듯이 앞으로도 이 사태의 평화롭고 바람직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.
우리 모두 함께 웃게 될 날을 애타게 기다리며, 김형오 드림. ♠
'국회의장실록(제도개선등) > 김형오의 말말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‘No’라고 말할 수 있는 사회 (8) | 2011.08.02 |
---|---|
“‘화려한 외출’은 처참한 실패로 끝났다” (127) | 2011.07.31 |
“누구를 위한 ‘희망버스’인가” (19) | 2011.07.14 |
“입보다 귀와 손발이 제 역할을 해야 할 때” (3) | 2011.07.05 |
“이제 내려오라” - 한진중공업 협상 타결 소식에 부쳐 (7) | 2011.06.28 |